동국대학교_소셜 앙트레 양성 교육 5탄
동국대학교 소셜 앙트레 양성 교육
강의 명 : 사회문제 발굴과 자료조사 방법
강사 : 백승철
지난 주 수업을 빠졌다. 왜냐하면 앞으로 올릴 예정이지만, 스마트 TV 개발 교육 포스팅을 올릴 예정이다.
내가 해결 하기에 거대한 문제들!!
그렇다면, 어떻게 공룡같은 문제들을 해결 할 것이냐!!
문제를 가장 작은 단위로 쪼개고 미친듯이 질문을 해댄다. 그리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를 찾아 다닌다. 이처럼, 문제를 정의하는 과정이 중요 하다
솔직히 이 부분은 굳이 사회적 기업들은 이래야 해 하는 부분은 아닌것 같다.
공부를 한다던지, 개발을 할때도 해당되는 사항인것 같다.
문제를 작은 단위로 나누고, 조사에 들어 간다.
디자인 사고
어려운 문제의 본질을 이해 하기 위해 사용 하는 방식이다.
성공 하는 사업의 퀄리티는 문제 본질의 정의에 있기에, 항시 문제를 옆에 두고 개발 해야 한다.
공감 하기 -> 문제 정의 -> 아이디어 내기 -> 프로토 타입 -> 시험 하기
-
공감 하기
문제의 접근이 쉬워야 한다. 문제점을 항상 옆에 두고 관찰 하자. -
문제 정의
여러 가지 문제중에 문제의 본질을 정의 해야 한다. -
아이디어 내기
정의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 해야 하는가. -
프로토 타입
찾은 해결점을 가지고 개발하기 -
시험 하기
공감하기와 비슷 하다. 이유인 즉슨, 사용자를 직접 만나서 test 하기 때문이다
위의 5가지 중에 가장 중요 한 부분은 공감하기와 문제 정의 하기 이다.
주제선정
주제는 점점 구체화 되는것이다. === 주제는 바뀌는 것이다.
주제를 선정 하기 위해서는
- 범위/방향 설정 - 문제 해결 방향성 (사업적 사명을 가진 방향)과 범위(해결 하는 것의 대략적 범위)를 설정 하여 조사 방향과 범위를 확정
- 데스크 리서치 - 단어 그대로다, 책상에 우직하게 앉아 미친듯이 자료를 검색 하는것이다.
주제에 대한 대략적인 현상, 원인, 기존의 접근 방법, 심각성을 찾는다. - 피드백을 통한 주제 설정 - 팀원과의 공유를 통해 후보 주제 중 최종안을 선정
굳이 전문가가 아니라도 이미 위의 01,02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지식이 습득이 된다.
범위 설정
내가 접근 하고 싶은 범위를 설정 하는 것을 의미 한다.
해결 하고자 하는 문제의 범위를 설정 하는 것이 제일 중요 한데, 이왕이면, 넓은 범위의 인류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접근 하기 보다는 작은 단위의 개인의 문제 에서 부터 시작하는것이 제일 중요 하다.
오늘 수업의 가장 큰 핵심은 문제가 발생 하면, 큰 범위에서 생각 하는것이 아니라, 작은 단위, 개인의 입장에서 부터 시작해서 해결 방안을 강구 하는데 있어서도 작은 단위로 쪼개서 생각하고 리서치 하는게 중요 하구나 하고 느꼈다.
거대하고 컨트롤 불가능한 주제는 해결 가능성이 낮아지지만,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할 수록 실현 가능해진다.
범위를 설정 하기 위해서는
- 대상자가 누구 인가?
- 현재 그 대상자는 어떤 피해를 받고 있나
- 이 문제에 대한 정보는 어디에 있는가? - ex) 특정 교수의 논문,논문을 읽고 교수와 contack, 현장에 있는 실무자를 만나 보기도 하는 등등..
문제의 범위와 방향성을 한정하자!! 그래야 정보의 Detail, 정보의 양을 알 수 있다.
데스크 리서치
리서치에는 2가지 종류가 존재 한다.
- 데스크 리서치
- 필드 리서치
데스크 리서치로 얻은 정보는 실은 모든 이들도 얻을 수 있다.
필드 리서치는 굉장한 전문성이 필요 하고, 현장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이다.
※필드 리서치를 할때는 설문 조사와 같은 리서치를 하는게 굉장히 안좋은 리서치 방법이다.
데스크 리서치로 신뢰도를 얻을 수 있고, 필드 리서치는 역량, 아이디어나 문제 해결점의 Detail을 얻을 수 있다.
전에 Sympathy와 Empathy의 차이점에 관해서 동영상을 본 경험이 있다.
인터뷰 준비하기
필드 리서치에 해당 한다.
- 인터뷰 조사 or 관찰 조사를 할 것인지를 선정 한다.
- 조사 설계와 계획을 한다.
- 내가 알아야 하는게 뭔지를 아는게 중요
- 누구에 물어 볼 것인지를 결정
- Interview List를 만드는게 중요
- 어떤 정보와 영감을 얻어야 하는지 고려 하여, 조사 설계와 계획을 진행
- 내가 알아야 하는게 뭔지를 아는게 중요
- 인터뷰 /관찰
- 왜곡된 정보에 대해 알 수 있게 된다.
- 왜곡된 정보에 대해 알 수 있게 된다.
인터뷰를 준비하기 위한 나에게 또는 너를 위한 질문 list
- 무엇을 알아내야 할까?
- 누구에게 인터뷰를 하면 가장 좋을까?
- 인터뷰 질문 내용
인터뷰 준비물
녹음기와 작은 카메라. 흠…
인터뷰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Tip!
Ex)를 들자면, 리얼리티 프로그램 같이 하는게 중요 하다.
인터뷰를 진행 하면서, 거짓말 하는데 그 거짓말을 잡아내는게 중요하다.
그 거짓말의 유무를 알아내려면, Desk 리서치를 통해 거짓말을 알 수 있고, 중복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 하다.
인터뷰를 하는데 필요한 인원수는 2명이 적당하다. 이건 상식이다.
기자 회견 하듯이 여러면이 주욱 가서 취조하면, 누가 인터뷰에 응대해 주겠는가?
사업이고 나발이고, 상식이 있어야지 사람이라면…
문제 정의의 핵심은 패턴을 찾는데 있다.
문제 발생 유형을 분석 하기 위해서는 페르소나(사람에 대한 유형화)에 대한 분석을 이력서 관리 하듯이
페르소나에 관한 것과 창업에 관련된것으로 나눠서 진행 하는것이 중요 하다.
에너지 사용 지도(고객 여정 맵) : 시간 대별 에너지 사용 패턴(시간, 도구,장소,만족도)
시간에 따른 시각화를 통해 Pain Point를 찾는 것이 창업 Item이 된다.
이번 강의는 소셜 벤처에만 국한된 내용이 아니다. 역시 왜냐면, 일반 기업 마케팅 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같다.